년도 |
연구명 및 연구소 |
요약 |
1994 |
급성 독성시험 (충북대) |
목적: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급성 독성 여부 시험.
결론: ICR 마우스를 대상으로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을 5,000mg/kg의 용량으로 투여 시, 사망률, 임상증상, 체중변화, 임상 병리 조직학적 독성 등이 발견되지 않았음.
|
1996 |
미국 FDA 인증기관의 급성 독성시험 (Biological Test Center, 미국) |
목적: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급성 독성 여부 시험.
결론: ICR 마우스를 대상으로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을 5,000mg/kg의 용량으로 투여 시, 독성의 발현이 없었으며 장기의 손상이나 임상 병리학적 이상 또한 발견되지 않았음.
|
2001 |
만성 독성시험 (강원대) |
목적: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급성 독성 여부 시험.
결과: 랫트와 비글견을 대상으로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을 3,000mg/kg 및 5,000mg/kg의 용량으로 10개월 간 투여 시, 독성 발현이 없고, 해부학적, 병리학적, 혈액학적 등의 이상 증후 없었음.
|
유기태 및 N-terminal 확인을 위한 신물질 분리 정제 실험 (서울대) |
목적: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유기형태 여부 확인.
결과: 1년 6개월 간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을 분리 정제하여 계측한 결과 N-terminal을 확인하고, 에놀라아제 등의 펩타이드와 결합되어 있는 유기형태의 게르마늄임을 확인함.
|
2002 |
단회투여 독성시험 I (바이오톡스텍) |
목적: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급성 독성 여부 시험.
결과: 랫트를 대상으로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을 2,000mg/kg의 용량으로 투여 시, 사망사례, 일반 병리증상, 체중 변화, 조직 병리학적 등의 이상이나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음.
|
단회투여 독성시험 II (바이오톡스텍) |
목적: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급성 독성 여부 시험.
결과: 비글견을 대상으로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을 2,000mg/kg의 용량으로 투여 시, 사망사례, 일반 병리증상, 체중 변화, 조직 병리학적 등의 이상이나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음.
|
반복투여 독성시험 I (바이오톡스텍) |
목적: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만성 독성 여부 시험.
결론: 랫트를 대상으로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을 최대 2,000mg/kg의 용량으로 13주간 투여 시, 사망사례, 체중 변화, 안과 및 뇨 검사, 혈액학적, 혈액생화학적 검사 및 부검 등에서 이상이나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, 무해용량(NOEL)은 2,000mg/kg로 사료됨.
|
반복투여 독성시험 II (바이오톡스텍) |
목적: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만성 독성 여부 시험.
결론: 비글견을 대상으로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을 최대 2,000mg/kg의 용량으로 13주간 투여 시, 사망사례, 체중 변화, 안과 및 뇨 검사, 혈액학적, 혈액생화학적 검사 및 부검 등에서 이상이나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으며, 무해용량(NOEL)은 2,000mg/kg로 사료됨.
|
2003 |
유전 독성시험: 복귀돌연변이 시험 (바이오톡스텍) |
목적: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복귀돌연변이 유발성 여부 시험.
결론: Salmonella Typhimurium 및 Echerichia Coli 균주를 이용한 복귀돌연변이 유발 가능성의 실험 결과,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(최대 농도 5,000 ㎍/plate)은 복귀돌연변이를 유발할 가능 성이 없는 것으로 사료됨.
|
유전 독성시험: 염색체이상 시험 (바이오톡스텍) |
목적: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염색체이상 유발성 여부 시험.
결론: CHL (Chinese Hamster Lung) 배양세포를 이용한 염색체이상 유발 여부의 시험 결과, 대사활성계의 적용여부에 관계없이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(최대 농도 5,000 ㎍/plate)은 CHL 세포에 대해 구조적 또는 숫적 이상의 염색체 이상을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됨.
|
유전 독성시험: 소핵 시험 (바이오톡스텍) |
목적: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소핵 형성 여부 시험.
결론: ICR 마우스의 골수세포를 이용하여 소핵시험을 실시한 결과,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(최대 농도 2,000 mg/kg)에 의한 조혈기능 억제 등의 세포독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, 마우스 골수세포의 소핵 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사료됨.
|
2004 |
신장 독성 분석 실험 (한국화학시험연구원) |
목적: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신장 잔류 여부 확인.
결론: 13주 반복투여 독성실험에서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을 투여한 모든 그룹의 랫트의 신장을 적출하여 게르마늄의 잔류 여부를 측정 결과,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은 신장에 잔류되지 않았음을 확인함.
|
2003 ~2005 |
인공위액(SGF)에 의한 해리 여부를 통한 유기게르마늄 확인 시험 (중앙대 핵자기공명연구실) |
목적: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유기형태 여부 확인.
결론: 2003년과 2005년 2회 실시한 실험에서,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은 인공위액(SGF)에서 무기 형태 혹은 이온 형태의 게르마늄으로 해리되지 않고 견고한 유기형태로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함.
|
2005 |
제조 및 이의 게르마늄 결합에 관한 연구 (중앙대) |
목적: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 내의 게르마늄 결합 상태 확인.
결론: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 내에서 단백질과 결합하고 있는 게르마늄이 인공위액에서 해리되는 지 알아본 결과, 투석막을 이용한 투석 전후에 따른 게르마늄 총량이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함. 이는 인공 위액에서 바이오게르마늄이 무기 형태 혹은 이온 형태의 게르마늄으로 쉽게 해리 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됨.
|
2007 |
바이오게르마늄 내의 GeO2 정성분석 (전남대) |
목적: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의 유기형태 여부 확인.
결론: 정량 및 정성분석 시험과 NMR 시험을 병행하여 게란티 바이오게르마늄 내에 존재하는 게르마늄은 단백질, 올리고 펩타이드, 아미노산 등과 결합된 유기게르마늄이며, 무기게르마늄이 잔존하지 않음을 확인함.
|